HOME > 뉴스 > 참가업체 뉴스

참가업체 뉴스

㈜바이오넷, 종합병원 타깃 프리미엄 심전도 Cardio Q 시리즈 출시
2022-02-09 조회수 : 688

 (주) 바이오넷 (대표 민 스티븐 상원, www.ebionet.com)은 프리미엄 심전도 Cardio Q 시리즈를 지난 1월 품목 허가를 완료하고 오는 3월 10일(목)부터 13일(일)까지 제37회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전시회(KIMES 2022)에 전시해 대중들에게 선보인다.

 

 

사용 편의성 및 검사 워크플로 단순화

 

 Cardio Q 시리즈 (Cardio Q70과 50)은 고급스럽고 깔끔한 외장 디자인과 함께 직관적인 UI를 통해 사용이 쉽고 검사 워크플로를 단순화해준다. 와이드 컬러 LCD 터치스크린으로 검사 진행 상황을 쉽게 확인하고 터치하여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Z-fold 프린터 옵션으로 12CH 심전도 결과가 한 페이지에 보기 좋게 출력이 가능하다.

 

 Q70의 경우는 Q50 대비 큰 터치스크린과 바로 정면에 영문/숫자 키보드가 장착되어 하루에 여러 명의 심전도 검사를 진행하는 상황에서 편리하고 신속하게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미 해외 다국적 기업은 종합병원급 심전도 제품에 이러한 키보드가 장착하고 있다.

 

 

정확하고 빠른 임상적 판단을 돕는 소프트웨어

 

 Cardio Q 시리즈의 경우 최신 심전도 분석 및 판독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여 의료진의 임상적 판단을 적극 돕는다. 최대 30분까지 데이터 전체 공개 (Full disclosure)가 가능하며 이는 실시간 모드에서 심전도를 검출하는 동시에 진단 결과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최대 30분 간격의 장시간 심전도 리코딩도 가능하여 혹시나 놓칠 수 있는 비정상적 리듬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최신 알고리즘을 통하여 의료진의 더 정확하고 빠른 판독을 돕는다. 실시간으로도 총 13종에 이르는 부정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추후 판독을 통하여 120가지의 진단이 가능하다. 추후 있을 버전업에는 영국의 Glasgow University와 공식 라이선스를 체결하여 Glasgow Algorithm을 적용하여 세계적으로 공신력 있는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 장비로 보강할 예정에 있으며 바이오넷 특허의 ST Map을 포함한 여러 가지 맞춤형 보고서를 제공하여 더 상세하고 정확한 의학적 판단을 돕는다.

 

 

사용 환경에 맞는 연결 유연성

 

 심전도 사용 환경의 경우 많은 네트워크와 연결 기기들을 사용하는 복잡한 병원 환경이다. Cardio Q 시리즈는 연결성이 탁월하여 데이터를 빠르고 쉽게 검토, 저장, 전송,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와 보고서는 HIS/EMR에 바로 전송이 가능하며, 내부 저장소에도 최대 500개의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원하는 문서 형식으로 변환하여 USB 드라이브를 통해 이동도 편리하다.

 

 

 이러한 Cardio Q 시리즈의 업그레이드된 사용 편의성, 판독 정확성, 연결 유연성을 기반으로 그동안 바이오넷 심전도가 많이 판매되던 의원급 뿐만 아니라 종합병원 이상급에도 판매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 바이오넷은 Cardio Q 시리즈 외에도 지난해 성공적으로 출시한 SonoMe, 추후 출시 예정인 환자 감시장치 Brio X 시리즈, 무선 심장 모니터링 패치 및 개인 건강관리 앱 EvoPatch & CareMe도 이번 KIMES 2022에서 적극 홍보를 진행할 예정이다.

 

 ㈜ 바이오넷은 1999년부터 국내에서 최초로 심전도 장비의 국산화를 선도한 업체로서 심전도 외 환자감시장치, 태아감시장치 등 생체 신호 기술에 대한 전문성과 광범위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2020년 새로운 경영진으로 교체와 함께 혁신적 무선 모바일 기술을 접목, 전 세계 의료 서비스 제공자뿐만 아니라 일반인을 대상으로 의료/건강관리 솔루션을 연구개발, 제조 및 판매를 하고 있다.

 

                   

                                                                               <Cardio Q 시리즈 – 왼쪽 Cardio Q70, 오른쪽 Cardio Q50>